반응형
경기도청 -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
변화의 중심, 기회의 경기도의 주요뉴스, 도민참여, 행정 서비스 안내
www.gg.go.kr
카테고리 | 지원 내용 | 대상 |
---|---|---|
청년지원 | 취업장려금, 창업지원금, 디지털일자리 | 만 19~34세 청년 |
소상공인 | 경영회복지원, 저금리 융자 등 | 연매출 10억 이하 사업자 |
주택지원 | 신혼부부 이자지원, 임대주택 | 무주택자, 청년, 신혼부부 |
복지/육아 | 출산지원금, 경력단절 재취업 등 | 가정, 여성, 경력단절자 |
건강지원 | 치매예방, 건강검진비 | 중장년, 노인 |
1. 청년 지원금 & 취업 장려금
- 청년취업장려금: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만 19~34세. 월 최대 50만 원 × 6개월 지급하며, 고용보험 미가입 시 우선 지원
- 청년창업지원금: 경기도 창업센터 입주자 대상. 최대 1,000만 원 창업자금+멘토링 제공
- 청년디지털일자리: 도내 중소기업 채용 청년 대상 월 200만 원 × 6개월, 사회보험·교육 포함
2. 중소기업·소상공인 지원 정책
- 소상공인 경영회복 지원금: 연매출 10억 이하, 최대 200만 원 지원
- 중소기업 시설장비 금융지원: 최대 5억 원, 저금리(1.2%) 융자
- 경기도 우수기술기업 인증 지원: 인증비 및 등록비 최대 300만 원 보조
3. 주택·임대주택·신혼부부 지원
- 신혼부부 주택구입·전세대출 이자지원: 최대 1.5% 이자 차액 보전
- 청년매입임대주택: 월세 + 공과금 포함 25만 원 한도 지원
- 경기도 행복주택 입주자금 대출: 최대 3,000만 원, 1.0% 고정금리
4. 복지·여성·육아 지원금
- 출산지원금(첫째·둘째): 30만 원·50만 원 차등 지급
- 경기도 육아고용복지패키지: 무상 보육·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자금 지원
-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금: 교육비+취업지원금 총 최대 100만 원
5. 건강·보건 지원
- 경기도 치매예방 프로그램: 등록기관 이용 시 연 20만 원 정액 지원
- 경기도 건강검진비 보조: 만 40·50·60세 대상, 최대 5만 원 보조
6. 신청 방법 & 절차 안내
- 경기도 열린페이지 또는 각 시군 홈페이지 접속
- ‘지원사업’ → 카테고리별(청년·소상공인·복지 등) 클릭
- 자격요건 확인 후, 온라인 신청 (공인인증 또는 간편인증)
- 필요 서류 준비: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·사업자등록증·통장 사본 등
- 신청 후 승인 알림 → 지정계좌로 지원금 입금
💡 신청 전 체크 포인트
- 사업별 신청기한이 다르므로 반드시 공고문 날짜 확인
- 지원금 중복 수급 여부와 자격 조건 체크 필수
- 온라인 신청 어렵다면 해당 시군 주민센터 방문 가능
📌 마무리 한마디
2025년 경기도는 청년·소상공인·신혼부부·육아 가정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해 풍성한 지원금과 정책을 준비했습니다. 신청 방법과 절차를 미리 숙지해, 지원금 혜택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알찬 정보 > 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이라면 꼭 봐야 할 돈 되는 지원정책 (+2025년 ) (18) | 2025.07.22 |
---|